안전운전과 차량관리

본문 바로가기

상담전화 051-557-3333, 3636 (07:00 ~ 19:00)

로고


DONGIL CAR DRIVE ACADEMY

운전자상식

안전운전과 차량관리
홈 >  운전자상식 >  안전운전과 차량관리

안전운전과 차량관리

안전거리 확보

안전거리는 앞차가 급정지하는 경우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로, 시속 50km/h일 때는 앞차와 3초 여유 를 두고,
시속 80km/h일 때는 4초, 그 이상 속도에서는 5초 이상 여유를 두어야 한다.

앞지르기 금지

금지장소

  • 교차로, 터널 안, 다리 위, 도로의 구부러진 곳
  •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,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
  • 앞지르기 금지 구간으로 지정한 곳

주취운전 금지

구분 혈정알코올 농도
0.05% ~ 0.1% 미만 0.1% 이상
대인사고 * 면허 취소
* 형사 입건
* 면허 취소
* 형사 입건
대물사고&단순음주 * 100일간 면허 정지
* 형사 입건
음주 측정 불응 *형사 입건, 면허 취소(측정결과 볼북시에는 재측정 가능)

혈중알코올 농도 0.05%의 기준

  • 음주량 : 소주잔 2잔 반, 맥주 2캔, 양주 2잔
  • 시간 : 음주 후 1시간 정도
  • 기준 : 체준 약 63kg의 성인 남자
  • 단, 개인의 체질, 심신, 상태, 음주방법,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

응급조치

타이어

  • 핸들이 한 쪽으로 쏠릴 때 :
    한 쪽 타이어의 공기가 새거나 앞바퀴 정렬 불량 또는 타이어 펑크가 주원인이다.
  • 스텐딩웨이브 현상 :
   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고속주행할 때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타이어 접지부의 바로 뒷부분이 부풀어 물결처럼 주름이 접히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[스탠딩 웨이브 현상]이라고 하며, 이런 경우 타이어 내부에 고열이 생겨 변형이 커지며 타이어가 파열되기도 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. 따라서 스탠딩웨이브 현상은 고속 주행시에는 공기압을 약간 높게 조정하여야 한다.
  • 타이어 공기압 적정 유지 :
   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준수하는 것은 안전 및 타이어의 장기 사용에 중요한 요소이다. 따라서 최소한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공기압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  • 적정 공기압보다 높을 경우 :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면적이 좁아져 바퀴가 헛돌거나 절단될 위험이 있다.
  • 적정 공기압보다 높을 경우 : 마찰등에 의한 과열, 타이어 내부 조직 손상등의 이유로 타이어 펑크 위험이 있다
  • 고속도로 주행시는 적정 공기압보다 약간 높게 주입한다

시동이 안 걸릴 때

  • 경음기를 눌러보고 그 소리가 작으면 배터리가 정상인지 확인하고, 전기가 다 나가버렸으면 다른 차에서 지원을 받아 점프선을 연결하여 시동을 건다.

기어 변속이 안될 때

  • 케이블식 클러치의 경우 클러치의 케이블이 끊겼거나 유격이 과다하기 때문이며, 유압식 클러치는 오일 부족 때문이거나 기름이 새서 압력 전달이 안 되기 때문이다.

이상한 냄새가 날 때

  • 고무타는 냄새 : 전기계통의 누전일 경우가 많으므로 냄새나는 부위를 찾아 절연 고무 테이프 등으로 감아 응급 조치하고, 장시간 고속주행으로 타이어가 과열되었는가도 확인한다.
  • 휘발유, LPG 냄새 : 엔진의 연료계통 파이프 연결부위 등에서 휘발유가 새지 않나 살펴보고 강력접착 테이프로 감아 임시 조치 한다.
  • 달콤한 냄새 :
점검내용 일일점검 주간점검 5,000마다 10,000마다 20,000마다 40,000마다
엔진오일
연료필터
오일 연료 누유 및 냉각수 누수
구동벨트 장력 마모상태
배터리액
브레이크액
타이어 공기압 및 마모상태
앞 유리 세척수
엔진 공회원 속도 및 CO배출량
에어클리너 엘리먼트 청결상태 3,000마다 교환
비포장도로 1,500
변속기 오일
점화플러그 청결 및 간극상태
후차축 오일
앞 현가장치 연결 및 마모상태
클러치 페달유격
모든 램프 작동상태
브레이크 오일파이프,호스
실린더헤드 볼트 조임상태
밸브간극
점화시기
브레이크 패드 및 라이닝 마모상태
앞바퀴 정렬상태

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